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스크랩] 2017년 유대인 달력 (이스라엘의 공휴일과 히브리어 발음 포함)

삭개오2 2017. 1. 4. 22:33

출처 : http://www.calendarlabs.com/templates/2017/2017-jewish-festivals.jpg

 

 

1) 2월 11일 : Tu Bishvat(Tu B'shvat :ט״ו בשבט  ) ---> 이스라엘 식목일 :  뚜부슈밧

 

2) 3월 12일 : Purim(פּוּרִים) ---> 에스더서에 기록된 하만의 유대인 대학살 음모에서 구출된 절기 :
                                                    푸림(부림)

 

3월 13일 : Shushan Purim : 

שושן פורים

 

슈샨 푸림 : 푸림절과 동일한데 예루살렘을 포함 성벽이 있는 도시들에서 개최되는 푸림으로 히브리어

의미로는 "작은 푸림"이라는 의미임.

 

"Shushan Purim is the same as Purim but it relates to the celebration in Jerusalem and
the walled cities."

 

"슈샨 푸림은 푸림과 같지만 예루살렘과 성벽으로 둘러쌓여진 도시들에서 거행되는 것과 관련있다"

 

3) 4월 11일 : Passover(פֶּסַח)  - First Day ---> 유월절 첫째 날 : 페싸흐

 

출처 : http://1.bp.blogspot.com/_R4CvUm3iIHI/S5l6zJqppEI/AAAAAAAAAnA/rcLUgcMEq6Q/s320/passover_hebrew_english.png

 

 

4월 12일 : 유월절(페싸흐) 둘째날

 

4월 18일 : 유월절(페싸흐) 마지막 날

 

4) 4월 24일 : Yom Hashoah(יום השואה) ---> 유대인 대학살 홀로코스트 추모일(Holocaust Remembrance

                                                                             Day), 또는 홀로코스트 날, "욤 하쇼아"(욤은 날, 하쇼아의

                                                                             "쇼아"는 "catastrophe"(커테스터러피), 즉 "참사", "재앙" 또는

                                                                             "destruction"의 "파괴", "멸살"의 의미.

 

5) 5월 1일 : Yom Hazikaron(יוֹם הַזִּכָּרוֹן‎‎)

 

이스라엘 현충일 : 중동전쟁에서 전사하거나 각종 테러들로 인해 전사한 이스라엘 전사자 군인들을 추모하는 날로

"욤 하지카론", 즉, "기억의 날"이라는 의미.

 

출처 : https://cfoi.co.uk/wp-content/uploads/2016/05/bibi-yom-hazikaron.jpg

 

 

6) 5월 2일 : Yom Ha'Atzmaut(יום העצמאות‎‎)

 

이스라엘의 독립기념일 : 1948년 5월 14일 독립, 유대력으로는 매년 5월 5일(이 날은 유대력에 따라 매년 변동됨),

"욤 하아쯔마우트"

 

출처 : https://youtu.be/cOUdOWv4fgM

 

 

7) 5월 14일 : Lag B'Omer(ל״ג בעומר) ---> 라그버오머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Lag_BaOmer)

 

"Lag BaOmer (Hebrew:ל״ג בעומר), also Lag B'Omer, is a Jewish holiday celebrated on the 33rd
day of the Counting of the Omer, which occurs on the 18th day of the Hebrew month of Iyar."

 

"라그버오머"(Lag BaOmer 또는 Lag B'Omer)는 곡식단을 세는 날의 33번째에 거행되는 유대인들의 명절로

유대력 여덟번 째 달인 Iyar(이야르 달)의 십팔일 째에 행해진다.


영킹 레위기 23:15절 "And ye shall count unto you from the morrow after the sabbath, from
the day that ye brought the sheaf of the wave offering; seven sabbaths shall be complete :
Even unto the morrow after the seventh sabbath shall ye number fifty days; and ye shall
offer a new meat offering unto the LORD."

 

한킹 레위기 23:15-16절 "너희는 안식일 후 다음 날, 너희가 흔드는 제사의 단을 가져온 그 날부터
세어서 일곱 안식일을 마칠지니 너희는 일곱째 안식일 이튿날까지 오십 일을 헤아려서 주께 새로운
음식제사를 드릴지니라."

 

"the sheaf"의 본래 의미는 '더미', 즉, 곡식을 묶은 "단"으로 보리나 밀 등을 묶은 곡식단이라는
의미로 오멜은 십분의 일 에바에 해당되는 양으로 약, 2.2리터입니다.

 

영킹 출 16:36절 "Now an omer is the tenth part of an ephah."

 

한킹 출 16:36절 "한 오멜은 십분의 일 에바더라."

 

즉, 히브리어로 오메르(עמר)는 유월절 "페사흐"의 2일째부터 오순절 "Shavuot"(샤부오트)의 전날까지의
49일간 동안의 기간 동안 그 첫날에 바치는 보리, 밀 등으로 묶은 곡식단이라는 의미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Counting_of_the_Omer)

 

"Counting of the Omer

Counting of the Omer is an important verbal counting of each of the forty-nine days between
the Jewish holidays of Passover and Shavuot as stated in the Hebrew Bible: Leviticus 23:15-16."

 

"곡식단을 셈

 

곡식단을 셈은 히브리어 성경 레위기 23:15-16절에서 시작된 바와 같이 유대인들의 유월절 명절과
오순절 사이의 49일 매일을 세는 중요한 축어적 셈인 것이다."

8) 5월 24일 : Yom Yerushalayim(יום ירושלים) ---> 욤 예루살라임 : 제 3차 중동전쟁(1967년 6월 5-10일)
                           즉, 6일 전쟁시에 6월 7일 이스라엘군이 동예루살렘을 탈환한 날을 기념하는 날을 유대력을 계산해
                           그 날이 바로 올 해 2017년에는 5월 24일에 해당된다는 의미.

9) 5월 31일 : Shavuot(שבועות) ---> 오순절(샤부오트) 첫째 날

6월 1일 : Shavuot(שבועות : 샤부오트)

 

10) 8월 1일 : Tisha B'Av(תשעה באב , 티샤바브) ---> 오늘날의 그레고리 태양력 7,8월에 해당하는 유대력

                                         "아브월"(AV) 9일째에 해당하는 날. 예루살렘 성전의 붕괴를 기념하는 날인데 주로

                      바벨론제국과 로마제국에 의해 예루살렘 성전이 함락, 붕괴되는 날을 단식하며 기념하는 날입니다.

 

11) 9월 21일 : Rosh HaShanah(ראש השנה) Starts --> 유대력으로 새 해 시작, "로쉬 하샤나"

 

9월 23일 : Rosh HaShanah ends ---> 로시 하샤나 휴일 끝.

 

12) 9월 24일 : Fast of Gedaliah (צוֹם גְּדַלְיָּה) --->  새벽부터 해질 때까지 유다 왕국의 의로운 통치자였던

                                         "Gedaliah"(그달랴 : 그달리야)의 암살을 생각하며 단식하는 날.

 

"Tzom Gedaliah"(쫌 그어달리야)의 "Tzom"(: 쫌)이 히브리어로 금식이라는 의미입니다.

 

한킹 왕하 25:22-26절 『바빌론의 느부캇넷살이 남겨 두어 유다 땅에 남아 있는 백성을 위하여 그가
사판의 손자 아히캄의 아들 그달랴로 통치자를 삼았더라. 모든 군대 대장들과 그들의 부하들이
바빌론 왕이 그달랴로 총독을 삼았다 함을 듣고,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과 카레아의 아들 요하난과
느토밧인 탄후멧의 아들 스라야와 마아캇인의 아들 야아사냐와 그들의 부하들이 미스파로 그달랴에게
가니 그달랴가 그들과 그들의 부하들에게 맹세하여 말하기를 "칼데아인들의 신하들을 두려워 말고
이 땅에 거하여 바빌론 왕을 섬기라. 그리하면 너희가 평안하리라." 하더라. 칠 월에 왕족 중에서
엘리사마의 손자요,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열 명을 대동하고 가서 그달랴를 쳐서 죽이고, 또
미스파에서 그와 함께 있는 유대인들과 칼데아인들도 죽였더라. 작고 큰 모든 백성과 군대의 대장들이
일어나서 이집트로 갔으니, 이는 그들이 칼데아인들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이더라.』

 

12) 9월 30일 : Yom Kippur(יוֹם כִּפּוּר) ----> 속죄일, "욤 키푸르", 욤은 "날", 키푸르는 "속죄"(atonement)

 

13) 10월 5일 : Sukkot(סוכות or סֻכּוֹת) Starts ---> 장막절 또는 초막절, "수코트" 시작.

 

10월 11일 : Sukkot Ends ===> 장막절 또는 초막절 "수코트" 끝.

 

14) 10월 12일 : Shemini Atzeret(שמיני עצרת) ---> 장막절의 제 8일에 해당하는 날. "셰미니아쩨레트"
                                   쉐미니(Shemini), 즉, 여덟번 째라는 의미, 아쩨레트(Atzeret) 회합, 모임이라는

                            의미.

 

한킹 레위기 23:33-36절 "주께서 모세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고하여 말하라.
이 일곱째 달 십오일은 주께 칠 일 동안 장막절이니라. 첫째 날에는 거룩한 모임이 있으리니 너희는
어떤 육체 노동도 하지 말지니라. 칠 일 동안 너희는 주께 불로 제사를 드릴 것이며, 여덟째 날에는
너희에게 거룩한 모임이 있으리니 너희는 주께 불로 제사를 드릴지니라. 그것은 엄숙한 집회이니
그 날에 너희는 어떤 육체 노동도 하지 말지니라."     (관련 구절 : 민수기 29:35절, 느헤미야 8:19절)

 

15) 10월 13일 : Simhat Torah(שִׂמְחַת תורָה) ---> "Shemini Atzeret"에 뒤이어 바로 "Simhat Torah" 또는
                            "Simchat Torah"(심하트 토라)의 의식히 행해짐. 즉, 일년 동안 읽은 토라를 이 날로 끝내고
                             다음 해 토라 읽기가 시작된다는 의미의 의식임.

 

Simhat(Simchat)의 히브리어 의미는 "기쁨'(Rejoicing), 즉, 크게 기뻐함, 축하의 의미임.

 

16) 12월 13일 : Hanukkah(Chanukah :חנוכה ) Starts ---> 하누카(Hanukkah)는 BC 2세기에 이스라엘 영토를

                             점령한 시리아 왕조, 안티오쿠스 4세라는 자가 예루살렘 성전에다 우상 신의 이교도 신상들을

                            세우고 유대인들을 향해 섬기라고 하는 등 온갖 가공하고도 참람한 짓거리를 자행하며 날뛰었다는

                            사실입니다. 이에 대항하여 유대인 제사장 마타티아스(Mattathias)의 네 아들이 혁명을 시작하여

                            예루살렘 성전을 탈환하면서 이교도 신상들을 모조리 파괴한 후 불을 밝혀 예루살렘 성전을 다시

                            하나님께 봉헌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시작된 축제입니다.

 

                           마카비 혁명, 또는 마카비 반란이라고 흔히들 말하고 있습니다.

                         

                           아홉개의 가지가 있는 촛대, 즉 "하누키아"(hanukkiyah)에다 불을 붙여 훤하게 밝히는 의식을
                          매우 중요한 의미로 부여하기 때문에 이 하누카 축제를 "봉헌절", 또는 "빛의 축제"라고 유대인들이
                        기뻐하며 이 하누카 축제기간 동안 매우 즐거워하며 민족적 축제로 삼아 지금도 매년 지키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지식백과 다음 사이트를 참고하십시오.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75875&cid=42836&categoryId=42836

 

12월  21일 : Hanukkah Ends ---> 하누카 끝.

 

이상 감사를 드리며 샬롬...

 
출처 : 이 시대를 향한 외침
글쓴이 : 삭개오2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