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대한민국에서 하루 평균 3천명의 생명이 살해당하고 있습니다.

삭개오2 2017. 2. 21. 09:28

 

 

출처: http://cbsnews1.cbsistatic.com/hub/i/2015/05/13/bf6e199b-2032-43e6-bdc3-4f41d1ab9c49/160065683.jpg

 

성경에는 다음과 같은 말씀이 있습니다.

 

백성이 많은 것은 왕의 영광이요
백성이 적은 것은 주권자의 패망이니라
잠언 14:28


미국과 중국이 그렇습니다.
강대국은 국민(백성)이 많습니다.

 

 

 

국가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 즉 영토·국민·주권에 의하여 정의됩니다.
참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6662&cid=40942&categoryId=31647

 

국가를 구성하는 국민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주께서 내 장부를 지으시며
나의 모태에서 나를 조직하셨나이다
시편 139:13
 
내가 모태에서부터 주의 붙드신바 되었으며
내 어미 배에서 주의 취하여 내신바 되었사오니
나는 항상 주를 찬송하리이다
시편 71:6

 

네 구속자요 모태에서 너를 조성한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나는 만물을 지은 여호와라
나와 함께한 자 없이 홀로 하늘을 폈으며 땅을 베풀었고
이사야 44:24

 

가로되 내가 모태에서 적신이 나왔사온즉
또한 적신이 그리로 돌아 가올찌라
주신 자도 여호와시요 취하신 자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찌니이다 하고
욥기 1:21

 

 

 

출처: http://www.slideshare.net/bhavna7nivi/abortion-47497175

 

태어나지 않은 생명은
태어난 생명처럼 하나님께서 주신 소중한 생명입니다.
모태에 있는 아기나 태어난 아기 모두 귀중한 생명입니다.

 

 


출처: http://www.orwelltoday.com/babyub2.jpg

 

낙태행위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 않습니다.

 

 

 

출처: http://www.all.org/normalizing-abortion-wont-make-it-hurt-less/

 


사람이 서로 싸우다가 아이 밴 여인을 다쳐 낙태케 하였으나
다른 해가 없으면 그 남편의 청구대로
반드시 벌금을 내되 재판장의 판결을 좇아 낼 것이니라
그러나 다른 해가 있으면 갚되 생명은 생명으로,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손은 손으로, 발은 발로,
데운 것은 데움으로, 상하게 한 것은 상함으로, 때린 것은 때림으로 갚을찌니라

If men strive, and hurt a woman with child,
so that her fruit depart from her, and yet no mischief follow:
he shall be surely punished, according as the woman's husband will lay upon him;
and he shall pay as the judges determine.
And if any mischief follow, then thou shalt give life for life,
Eye for eye, tooth for tooth, hand for hand, foot for foot,
Burning for burning, wound for wound, stripe for stripe.
출애굽기 21장 22~25절

 

상기 성경말씀을 보면 낙태케 해서
해가 있으면 어떤 처벌을 요구합니다.
생명일 경우 생명을 요구합니다.
이는 고의적인 살인 행위처럼 중대한 범죄로 간주합니다.

 

 


출처: https://i.ytimg.com/vi/qjH0uR1u8V4/maxresdefault.jpg

 

하나님을 믿지 않는 국가에서도
양심이 살아있을 경우
법으로 낙태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userscontent2.emaze.com/images/1c101114-5aa6-478f-84cf-c6ed9c2d7972/d1ef4d1a208c9c95bd89d35348750655.jpeg


태어나지 않은 생명을 죽이는 낙태행위는
다음과 같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출처: http://heartofman.net/Explorer/Abortion/002-Types%20of%20Abortion.txt

 

이것은 능지처참입니다.
능지처참 극형은 다음을 참고하십시요.
https://ko.wikipedia.org/wiki/%EB%8A%A5%EC%A7%80

 

태어나지 않은 어린 생명은
능지처참형을 당할 정도로
국가에 어떤 범법 행위를 하지 않았습니다.
능지처참형을 당할 정도의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또한 법원에서 능지처참의 사형집행 판결도 재판도 받지 않았습니다.

 

 

 

 


출처: http://www.abortionno.org/abortion-photos/

 

 

 

 

 

출처: https://books.google.co.kr/books?id=bRm4BQAAQBAJ&printsec=frontcover&hl=ko#v=onepage&q&f=false

 

美(미)서 1976년에 111만명이落胎(낙태)수술이 실시되었습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60200329206009&editNo=2&publishDate=1977-06-02&officeId=00032&pageNo=6&printNo=9746&publishType=00020&from=news

 

중국에서는 낙태수술이 매년 1천300만건이 행해졌으며
40년간 낙태 시술만 무려 '3억3600만건' 정도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11146647
http://news.joins.com/article/10961744


1989년대 소련에서는 한해 6백50만건 낙태수술이 행해졌다고 합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12500289104006&editNo=2&publishDate=1989-01-25&officeId=00028&pageNo=4&printNo=218&publishType=00010&from=news


1970년대 프랑스에서는 한해 85萬(만)건 낙태수술이 행해졌다고 합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1061900209206004&editNo=2&publishDate=1971-06-19&officeId=00020&pageNo=6&printNo=15292&publishType=00020&from=news


1981년중 기록된 일본의 낙태건수는 58만6천5백69건이라고 합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40500329210011&editNo=2&publishDate=1983-04-05&officeId=00032&pageNo=10&printNo=11544&publishType=00020&from=news

 

 

 


대한민국 산부인과의사회에서는 하루 평균 3천명 낙태수술이 행해진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24/0200000000AKR20170124193200017.HTML?input=1195m


하루 3000명 X 일년 100~200일(공휴일 제외) = 300,000~600,000명

능지처참으로 무고하게
수 십 만명 정도가 죽음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하나님!
대한민국 내에서
수 십만명 어린 생명을 죽이는
낙태 행위를 회개합니다.


------------------------------------------------
상기 인용된 컨텐츠들은 저작권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보도•비평•교육•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되었습니다.
Copyright Disclaimer Under Section 107 of the Copyright Act 1976,
allowance is made for "fair use" for purposes such as criticism, comment, news reporting, teaching, scholarship, and research.
Fair use is a use permitted by copyright statute that might otherwise be infringing.
Non-profit, educational or personal use tips the balance in favor of fair use.

 

 

 

 

출처 : 이 시대를 향한 외침
글쓴이 : 예슈아커밍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