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esedae/220828281559
>> 72시간 생존 배낭, 아이용 포함해 식구 수대로 준비… 욕심내면 대피하다 지쳐… 필요한 것만 가볍게 싸야
생존 배낭, 이렇게 꾸려라
SNS에는 '정부도 안 알려준다'는 생존 배낭 인증샷이 하루가 다르게 올라온다. 생존 배낭은 '비상 배낭' 또는 '72시간 생존 배낭'이라고도 부른다. 재난이 발생한 뒤 2~3일을 버티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재난시대 생존법'을 펴낸 우승엽 도시재난연구소 소장은 "이번 지진을 계기로 일본 등에서 판매하는 생존 배낭을 구입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면서 "하지만 10만원이 넘는 생존 가방은 비싸고,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비상식량이 너무 달거나 짜고, 한국인 입맛에 맞지 않는다는 것. 또한 체온 유지용품이 거의 없다. 편용우 교수 역시 "시중에 판매하는 생존 배낭은 현실과 동떨어진 내용물로 구성될 수 있다"며 "개개인이 재해 상황을 '상상'해서 꼭 필요한 물품으로 가방을 채우라"고 했다.
우 소장은 "집에 있는 배낭에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비상식량과 '천원숍' 같은 데서 살 수 있는 생존용품을 구입해 넣으면 수입 생존 배낭 속 비슷한 품목을 3분의 1 가격에 살 수 있다"고 노하우를 전했다. 생존 배낭은 아이용을 포함해 식구 수대로 준비한다. 품목별로 비상식량·체온 보존용품·비상용품으로 구성한다.
'비상식량'은 생수와 건빵·초콜릿·참치캔 같은 간단한 먹을거리다. 도쿄도에서 배포한 방재책자 '도쿄방재'에 나온 생존 배낭에는 인스턴트 라면이 있지만 우 소장은 "라면은 비상식량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며 "생존 배낭에 들어가는 간단한 먹을거리는 말 그대로 2~3일만 버틸 수 있는 비상식량"이라고 했다.
'체온 보존용품'은 바람막이 재킷·보온담요·핫팩·머리를 보호하는 모자나 비니 등이다. '비상용품'은 구조신호를 보내고 생존에 필요한 호루라기·손전등·나침반·라디오 등이다. 여성은 여성용품을, 환자라면 평소 먹는 약도 챙길 것. "너무 욕심내면 생존 배낭이 무거워져 재빨리 대피하는데 힘들고 이동하다 지칠 수 있어요. 필요한 것만 넣되 가벼워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 9월 12일 국내 지진 관측 사상 최강인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인터넷에선 생존 장비에 대한 관심과 판매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제는 언론에서도 생존 배낭에 관한 기사가 등장하였다.
세월호 사건 이후 터진 대형사건과 재난의 순간마다 철저히 무능한 모습을 보여준 정부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국민들 사이엔 “내 살길은 내가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해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핵위협과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과의 갈등, 여기에 점점 옥죄어 오는 경제위기와 최근 원전지역에 집중되고 있는 지진들, 정말 우리가 ‘생존’을 염려해야 할 상황이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 예레미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