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politics/north/newsview?newsid=20160913170604936
[레이더P] 北핵실험, 잠자던 백두산 화산 자극..분출 가능성 커져 본문
[레이더P] 北핵실험, 잠자던 백두산 화산 자극..분출 가능성 커져
백재현 의원, 연세대 연구팀 인용매일경제 안병욱 입력 2016.09.13. 17:06日 화산전문가 “분출 확률 2019년 68%, 2032년 99%”
북한도 위험 알고 있지만, 지진계 설치 거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재현 의원은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학계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북한 핵실험으로 인한 충격으로 백두산 화산 폭발 위험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진과 화산 관련 재난 업무를 담당하는 국민안전처가 중국과 협조해 당장 백두산에 대한 실무조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두산 천지](http://t1.daumcdn.net/news/201609/13/mk/20160913170603331rsis.jpg)
백 의원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인 지난 2월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북한 핵실험에 따른 백두산 화산의 지진동과 동적 응력변화 예측'이라는 논문을 소개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백두산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거리는 120㎞로, 중규모(규모 3 이상 7 미만) 이상 지진이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리라고 설명하고 있다. 북한이 더 큰 규모의 핵실험을 진행하면 활화산인 백두산이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나와 있다.
홍태경 교수는 지난 2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1~3차 핵실험의 파형 자료를 활용해 앞으로 북한 핵실험 규모가 커지는 것을 가정했을 때의 최대지반 가속도(지진에 의해서 땅이 흔들리는 정도)와 응력(백두산 아래 마그마가 모여있는 공간에 가해지는 압력)을 계산했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북한 4차 핵실험 때의) 규모 5.1의 인공지진은 (백두산에) 강력하지 않은 지진파를 전달한다"면서도 "하지만 (백두산 아래) 마그마가 발달한 상태라면 (규모 5.1의 지진에서 비롯된) 낮은 압력에도 화산이 분화할 수 있다"고 말해 북한 핵실험과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이외에도 백 의원은 지난해 2월 국민안전처 의뢰로 윤성효 부산대학교 교수팀이 한 '화산재해 피해예측 기술 개발' 연구도 소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활화산인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면 남한에 최대 11조 1,900억 원에 달하는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화산 폭발 8시간 후부터는 강원도를 시작으로 화산재가 유입돼 48시간 후에는 전남 서남부 지역을 제외한 남한 전역이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해외 연구 자료도 소개되었다. 일본의 화산전문가인 도호쿠대학교 다니구치 히로마쓰 교수는 지난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지각판 운동의 영향으로 백두산 분출 확률이 2019년에는 68%에 달하고, 2032년에는 99%로 이른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백재현 의원실 관계자는 레이더 P와의 통화에서 "현재 국민안전처의 지진방재대책에는 한반도에 엄청난 재앙을 미칠 백두산 화산 폭발로 인한 지진, 화산재 피해 등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다"라며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에서도 드러난 국민안전처의 부실한 대응을 비롯해 어떤 수준의 안전 대책을 갖췄는지를 이번 국정감사에서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민안전처가 중국과 백두산 화산 폭발에 대비한 공동 실무조사를 이른 시일 내에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 외교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1월 국민안전처는 중국 지진국과 재난안전관리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지진·화산 관련 정책 분야, 과학 기술 분야에 관한 기술을 공유하기로 협의했다. 지난 3월 서울에서 양국 지진·화산 분야 실무자와 전문가가 참여한 공동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하지만 국민안전처가 백두산에서 화산 폭발에 대비한 실무조사를 벌인 적은 현재까지 없다.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난해 4월 중국 과학원 지질 물리연구소와 오는 2018년 백두산에 시추공을 뚫고 마그마가 흐르는 지하 10km 근방을 조사한다는 내용에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백재현 의원실 관계자는 "(일본 연구 자료를 보면)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이 2019년에 68%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는 너무 늦다"면서 "이미 세워진 계획을 앞당겨 실무조사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 역시 백두산 폭발에 대한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지난 2007년 12월 개성에서 열린 남북보건환경회담에서 북한은 "백두산 폭발이 임박한 것 같다"며 우리 정부에 지진계 설치를 요청했다. 당시 북한은 일본에도 도움을 구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두 차례 비공개회의를 연 뒤 지진계 설치 요청을 수락했다.
하지만 핵실험 지진파까지 감지하는 지진계 설치로 인해 남한에 군사정보가 넘어갈 것을 우려한 북한이 결국 거절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안병욱 기자]
[정치뉴스의 모든 것 레이더P 바로가기]
기사의 저작권은 '레이더P'에 있습니다.
지면 혹은 방송을 통한 인용 보도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매일경제 & mk.co.kr